1990년 PC9801 발매 (오리지널)
2002년 WINDOWS 발매 (리메이크)
사진은 2002년 초회판 PC패키지에 동봉된 '다이너소어 리저렉션 사운드 트랙' 케이스에 내용물만 DVD버전 게임을 넣은 것이다. 당시 초판에는 PC9801 FM음원 버전 사운드트랙도 같이 들어있었다.
윈도우 버전 패키지는 추후에 비스타 대응 버전이라고 염가버전이 한 번 더 나오기는 했지만 그 후로 단종됐다.
현재는 일본 DL사이트 등지에서 판매중이다.
1인칭 시점의 던전RPG이다. 유달리 일본에서 사랑 받던 위저드리 시리즈와 비슷한 감성이라고 하기에는 다이너소어는 자유로운 캐릭터 메이킹과 직업 육성 보다는 스토리와 캐릭터가 중점이라고 보면 될 듯 하다.
실제로 기본 스토리는 사전 정보다 없다면 반드시 정면 루트로만 진행이 된다. 방법을 알게 되면 뒷면 루트로 들어갈 수 있는데 등장하는 인물이 완전 바뀐다. (예외 1명 있음)
인물 성향 대사 등이 완전 바뀌면서 같은 진행을 하고 있음에도 새로운 느낌을 받게 된다.
다만 아쉬운 점은 게임 진행이나 엔딩 구조등은 사실상 큰 차이가 나는 편이 아니라서 오랜 시간 진행해야 하는 던전RPG를 이런 식으로 해놓은 것은 단점에 가깝다.
나중에라도 다이노소어가 새롭게 재탄생 한다면 게임 진행 자체에 큰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아무튼 스토리, 음악, 인물이 꽤 흥미로웠던 게임이다. 개인적으로는 스위치, 스팀으로 단순 이식만 해줘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다만 원래도 안 팔렸던 게임이라 그럴 가능성은 너무 낮다는 게 아쉬울 따름이다.
아, 게임 제작사는 '팔콤'이다. 사운드 트랙은 유튜브 가면 전부 공개되어 있으니 한 번 들어보는 걸 추천한다. 팔콤 답게 사운드 하나 만큼은 일품이다.
서피스 랩탑 스튜디오 1 (3050Ti 모델)
윈도우11 24H2 (25/01 최신 보안 패치 적용)
엔비디아 드라이버 566.36 드라이버
다이너소어 리저렉션 DVD 디스크 1.0 초회판 (정품)
-서피스 랩탑 스튜디오를 사용하는 이유
4:3에 가까운 비율 덕분에 이런 고전(에뮬 포함) 즐기는데 매우 좋은 화면을 갖고 있다.
스피커도 중상 수준으로 괜찮아서 마우스와 게임패드만 구비하면 구작들 쾌적하게 즐기는데 문제 없을 정도로 좋다.
-기본적인 세팅
실행파일 호환성을 XP SP3, 관리자 권한 실행에 체크
게임 DVD 디스크는 외장 USB 드라이브를 이용해서 불러들인 다음, 반디집을 이용해 ISO 파일로 변환한다. 약 1.3GB 파일이 된다.
그 후에는 ISO 이미지를 마운트 해서 설치와 실행까지 진행한다.
팔콤 공식 홈페이지 (다이너소어 리저렉션 전용)에 가서 1.02 패치를 다운 받는다.
-로케일 에뮬레이터
인스톨 하거나 에러 메시지 뜰 경우 로케일 에뮬이 없다면 (일본어 언어팩 깔고 일본 윈도우로 바꿨다면 문제 없음) 알 수 없다. 다만 메시지를 제대로 볼 수 있다면 원인과 해결도 간단하다.
인스톨 에러가 나는데 에러가 나는 부위는 세이브 데이터 폴더(디렉토리) 작성할 때였다.
에러 뜨는 위치에 미리 Falcom\din 폴더를 작성한다. 그 후에 인스톨러를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파일 복사가 되면서 완료가 뜬다.
-복사만으로 실행 가능, 하지만.
DVD 안에 있는 Din 폴더를 그대로 복사해서 실행하면 실행만 잘 된다. 하지만 세이브와 설정 저장이 안 되는 문제와 더불어 3D 묘사되는 그래픽이 전부 검게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는 버그가 발생한다. 버그는 전부 세이브 폴더 문제 작성 문제와 연결된다.
세이브 작성문제가 해결되니 3D 그래픽 문제도 자연스레 사라졌다.
-게임패드 지원
설정을 실행하면 조이스틱(=게임패드) 지원이 기본적으로 켜져 있다.
테스트한 컨트롤러는 8bito 얼티밋 엑박,PC지원 무선 제품이다. 연결은 전용 리시버가 아닌 블루투스로 했다.
패드를 연결 후 다이너소어 리저렉션을 실행하면 좌측 아날로그 스틱과 A, B (결정, 취소) 버튼만 먹히는 문제가 있다. 십자 패드키가 작동하지 않는다. 던전 이동시에는 아날로그 스틱 보다는 패드키가 더 좋은 건 자명한 사실. 또한 가장 중요한 횡이동이 안 된다. 좌측 스틱을 기울이면 무조건 좌회전이 된다. 이 또한 던전 RPG에서는 치명적인 문제가 된다.
게임은 키보드 조작도 가능하지만 컨트롤러와 같은 문제를 안고 있다.
결국 마우스로만 횡이동, 회전이동 등 전부 원활하게 잘 작동한다.
마우스 후킹을 해서 컨트롤러로 대체할 수 있을 듯 하지만 테스트는 해보지 않았다. 아마 2002년 당시에도 그런 식으로 즐겼던 것 같긴한데 워낙 오래전이라 기억이 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