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2월 20일 목요일

SFF (39) - 에비크 16인치 3K 120hz OLED 포터블 모니터 (수정)



(수정1)

HDR 모드 세팅 시 과채도 문제를 지적했는데 현재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지만 어느 정도 해결이 된 상태. 
중간에 모니터 초기화도 하면서 이런 저런 세팅 건드려보다가 포기했었는데 어느 지점에서 문제가 해결됐는지 알 수가 없다. 

결론적으로 윈도우11에서 HDR 모드 켰을 때 SDR은 SDR로 출력된다. 다만 색정확도는 여전히 좋은 편은 아니지만 최소한 과채도 문제는 해결됐다는 데 큰 의의가 있겠다.  
-------------------------- 

2880X1800 해상도 기준 최대 100hz 되는 OLED 포터블 모니터. 

정확히는 2.8K 지만 가정용 UHD도 엄밀히 따지면 3.8K가 되버리니 중요한 것은 아니다.  

아무튼 랩탑에 들어가는 16인치 3K 120hz OLED 디스플레이 그대로 긴빠이해서 만든 그런 모니터 되겠다. 

그래서 생기는 문제가 이제부터 시작된다. 


1. 주사율 

제품 광고는 3K 120hz 라고 해서 전부 다 되는 것 처럼 말하는데 아니다. 

HDMI 연결 기준 3K의 최대주사율은 100hz 밖에 안 된다. 

C타입 연결을 해야 120hz가 나온다. HDMI에서 120Hz를 쓰고 싶다면 해상도를 낮춰야 한다. 


2. 색프로파일 문제

해당 OLED 패널은 광색역(P3)을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윈도우11에서 HDR을 ON으로 설정하면 원칙대로라면 디스플레이가 광색역이라고 해도 일반환경은 sRGB로 출력되고  HDR영상이나 P3 소스에 한해서 광색역 그대로 보여준다. 그렇기에 윈도우11에서는 HDR 제대로 지원하는 모니터가 필요하며 HDR을 켜야 하는 이유가 된다. 

하지만 에비크 16 올레드 모니터는 윈도우11의 HDR 색관리가 작동하지 않는다. 

이 모니터는 HDR을 켜나 끄나 동일하게 광색역으로만 출력된다. 

모니터 설정에서 HDR을 켜게 되면 다른 밝기 명암 채도 등등 전부 조작불능이 된다. 

한마디로 이 모니터는 그냥 부품만 긴빠이해서 만들었을 뿐이지 완성도는 쥐뿔도 없는 쓰레기라는 소리다. 

지금 내가 사용중인 디스플레이에서 제대로 색을 보고 있나 확인하고 싶다면 유튜브 썸네일만 확인해도 된다. 특히 빨간색이 너무 씨뻘겋게 보이거나 유튜브 로고 아이콘 빨간색이 섬뜩할 정도로 빨갛게 보인다면 그게 과채도 상태다. 

이 증상은 맥북 프로에 연결해도 동일하다. 맥에서 색프로파일을 설정을 바꿔봐도 제대로 먹히지 않으며 원시색역으로만 출력된다. 

3. 색문제 대처법

-엣지 기준 

개발실 도구설정으로 들어가서 color 로 검색하면 2개가 뜬다. 

그 중 가장 위의 것을 선택해서 메뉴중에 D65를 선택하고 엣지를 재시작 한다. 

이렇게 되면 엣지는 전부 sRGB 로 강제 색역 고정이 되버린다. 하지만 이렇게 해도 디스플레이 기본세팅이 개판인지 여전히 채도가 살짝 과하다. 그나마 조금 나아지는 수준이다. 다만 이 또한 문제가 있는데 이렇게 색역을 고정해버리면 HDR 영상은 재생이 안 된다. 아니 재생은 되는데 HDR로 볼 수가 없다. 

-그래픽카드 설정

모니터에서 건드릴 수 없으니 그래픽카드에서 건드려야 한다. 

엔비디아 기준 디지털 바이브런스를 내리면 된다. 사실 이건 권장방법이 아니다. 어쩔 수 없기에 쓰는 방편일 뿐이다. 쓰레기에는 쓰레기로 대처할 수 밖에 없다. 

기본 50% 세팅되어 있을텐데 35% 정도로 내리면 봐줄만하게는 된다. sRGB에 어느 정도 부합되는 (눈대중 기준) 컬러가 된다.이 역시 네이티브 색역 자체를 깎아내는 것이라 P3 가 필요한 소스는 역으로 물빠진 채도로 출력된다. 

결국 HDR 재생하는 것은 포기하는 게 편하다.  

4. 해상도 

게임을 구동하면 최대 해상도는 2560X1440으로 해야 하며 1:1 픽셀매칭이 되지 않아서 선명도에서 손해를 본다. 바탕화면 기본 해상도를 2880으로 하면 주사율은 100Hz가 최대다. QHD로 내리고 120으로 세팅하는 방법도 있지만 당연히 게임 제외 모든 부분에서 가독성에 문제가 생긴다. 1:1 매칭이 아니기 때문이다. 

창모드 전체화면으로 하게 되면 이 역시 디스플레이 기본설정을 따라가기에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애매한 해상도 애매한 주사율, 그야말로 회색지대에 있다. 

4. 결론

장점 : OLED 패널, 반사방지코팅(글레어),

단점 : 색프로필 미적용, 색역 문제로 과채도 고정, 비정규 해상도, HDMI 애매한 주사율   

과거 중소기업 TV 사서 색문제로 어떻게든 살려보려고 골치 아팠던 적이 있는데 그 때 악몽이 다시 떠오른다. 제대로 된 모니터를 사는게 이득이다. 

비추!

댓글 없음:

댓글 쓰기